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바이든 당선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반응형

 

 

트럼프와 바이든 후보가 치열하게 싸웠으나 바이든이 우세한 상황이고 거의 대통령 확정이다.

 

 

개인적으로는 트럼프가 시끄럽긴 했지만 친기업적인 성향에 세금감면을 하는 등 경제를 살리려는 행동을 많이해서 트럼프가 낫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미국시민들은 바이든을 선택했다.

 

미국 대선은 한국에 영향을 많이 주고 앞으로의 정책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한번쯤은 공약을 살펴봐야 한다. 그저 트럼프 별로라 바이든 됐다고 잘됐다 하는 사람들 있는데 절대 그러면 안된다. 바이든은 연설에서 미국을 존경받는 나라로 만든다고 했지만 존경받으려면 돈이 필요한 법. 한국도 한번도 경험하지 못한 나라를 만든다고 했다가 엄청나게 세금을 올리고 있으므로.. 기대는 금물이다.

 

1. 세금

 

- 법인세 인상 (기업이익 줄어듬->주식가격하락 할 수도 있다.)

- 자본소득세 인상 ( 부자들 세금인상)

- 부유세 인상 ( 소득세, 사회보장세 올림)

- 중산층 저소득층 보호를 위한 조세감면 실시

 

2. 기후

 

- 그린뉴딜과 맞먹는 친환경 정책을 펼치게 됨( 태양광, 풍력, 전기차-관련주식 유심히 볼 것)

- 친환경을 위한 법 신설할 예정

 

3. 외교

 

한국은 방위비 분담금의 압박에서 벗어날 듯. 북한원조도 시작할지 지켜봐야 함.

 

4. 이민

 

좀 더 자유로워질 듯-> 신흥국 부자들이 미국으로 들어갈 수 있음.  if 신흥국 조세증가율보다 미국이 낮을 경우

                              한국부자들도 미국이민 받아만 주면 떠날 사람 많을텐데..

 

5. 헬스케어

 

오바마케어를 이어받아 복지적인 면으로 더 지원할 것임. 그러기 위해서는 부자들의 세금이 필요하다.

코로나사태가 오자 미국 의료보험의 민낯이 전세계에 알려짐. 저소득층은 병원도 못가는 상황. 이런거 보면 한국 의료시스템이 좋은데

 

 

6. 복지 및 임금인상

 

시간당 $15달러정도로 최저임금을 올린다고 함. 저소득층을 위한 복지도 실행하고 

이 내용은 한국과도 비슷한데 어떻게 풀어낼지 기대됨. 기업의 부담은 가중되고 복지는 깨진독에 물붓기인데 미국이 아메리카 퍼스트를 실현한다면 한국 정치가 이상한 것이지. 정책이 틀린 것은 아니라는 반증이다.

 

7. 미국으로 생산기지 옮기기 지원

 

 미국 제조업 몰락을 막기 위한 방편. 기업에게 당근을 주긴 하는데 미국으로 들어오면 세금 엄청때릴 듯.  

 

 

전반적으로 민주당 느낌의 정책인데 미국이 어떻게 될지 궁금하다.

부자들이 자진해서 돈을 내기도 하는 나라이니 정치의 방향이 경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바이든의 공약이 성공적으로 나라를 이끈다면 한국정치는 썩었다는 반증이다.

 

미국도 비실거리게 되면 중국이 치고 올라올 수도 있고 한국은 어느편에 서게 될지...

미래는 진짜 예측하기 힘든 듯.

 

반응형